지하철 유실물 센터 알아보기
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물건 찾는 방법 알아보기
대중교통을 이용하다가 물건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지하철에서 물건을 잃어버렸을 경우 잃어버린 물건 찾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울교통공사의 통계를 보면 21년도 한 해 동안 서울 지하철에서 습득된 유실물은 10만 건이 넘고, 하루에 평균적으로 270여 건 정도 된다고 합니다.
유실물의 종류를 알아보면 지갑(24%) - 휴대전화 및 귀중품(20%)- 가방(15%) 순이었습니다.
월별로 알아보면 2월이 가장 적고 5월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에서 습득된 유실물 중 65%만 주인에게 돌아갔고 나머지는 보관 중이거나 경찰에 인계되었습니다.
1. 유실물 처리 과정
- 습득된 유실물은 여러 가지 법령과 규정에 따라 습득한 역에서 등록한 후 유실물센터에서 일주일간 보관하고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경찰서로 인계됩니다.
- 유실물센터에서 9개월간 보관되고 그 후에는 국가에 귀속되거나 사회복지단체에 기부됩니다.
- 선로에 떨어진 유실물은 안전을 위해 모든 지하철 운행이 끝난 심야시간에 수거됩니다.
2. 서울교통공사 1 ~ 9호선 유실물센터 위치 및 전화번호
서울교통공사 유실물 센터는 평일 09: 00 ~ 18: 00까지 운영됩니다.
- 1~2 호선 : 시청역(2호선) 시청유실물센터 (지하 2층) 02-6110-1122
- 3~4 호선 : 충무로역(4호선) 충무로유실물센터 (지하 2층) 02-6110-3344
- 5~8 호선 : 왕십리역(5호선) 왕십리유실물센터 (지하 1층) 02-6331-6765.8
- 6~7 호선 : 태릉입구역(7호선) 태릉유실물센터 (지하 3층) 02-6330-6766.7
- 9호선(언주~중앙 보훈병원) : 종합운동장역(9호선) 종합운동장유실물센터 02-2656-0930
3. 서울교통공사 운영구간이 아닌 곳에서 잃어버린 경우
- 1호선(서울역~청량리 이외 구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철도고객센터(1544-7788), 개별 역에서 유실물 보관·경찰서 이관
- 7호선(까치울~석남 구간): 인천교통공사 인천시청역 유실물센터(032-451-3650)
- 9호선: 서울시 메트로 9호선 동작역 유실물센터(02-2656-0009)
4. 지방 지하철 유실물센터
- 부산 서면역 051-640-7339
- 대구 반월당역 053-640-3333
- 인천 부평삼거리역 032-451-3650
- 광주 금남로 4가 역 062-604-8554
5. 유실물 찾는 방법
- 지하철에서 물건을 잃어버린 위치와 시간을 기억하면 물건이 있을 만한 장소를 추측하기가 쉽습니다.
- 교통카드로 지하철을 이용했다면 사용한 교통카드를 직원에서 제시하여 본인의 승. 하자 시간을 추적하여 탑승했던 열차를 찾기가 쉽습니다.
- 유실물을 찾아가라는 연락을 받았거나 LOST112에서 잃어버린 물건을 찾았다면 신분증으로 가지고 각 호선별 지하철 유실물센터를 방문합니다.
- 시청, 충무로, 왕십리, 태릉입구 역사에 있는 유실물센터에서는 물품보관함(T-Locker)을 이용해 직접 유실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유실물센터에 방문할 필요 없이 유실물을 물품보관함에 보관한 후 물건의 주인에게 위치,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물건을 찾는 사람이 보관비용을 지불하고 직접 유실물을 찾아갈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하차하기 전 놓고 내리는 물건이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시고 중요한 물건에는 연락처를 남겨놓아 혹시 잃어버렸을 때에도 소중한 물건을 빨리 찾으시기 바랍니다.
아직 잃어버린 물건을 찾지 못했다면 경찰청 유실물 센터 에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글 더 보기
경찰청 유실물 종합관리 시스템 이용하는 방법
경찰청 유실물 종합관리 시스템에서 분실물 조회, 찾는 방법 지하철, 버스, 택시, 기차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음식점, 공공기관, 놀이공원, 학교, 회사, 공항 등을 이용하다가 물건을 잃어
jins-lifetip.tistory.com
구글지도 타임라인 활용법 알아보기
구글 지도 타임라인이란 나의 스마트폰 GPS 위티 정보를 이용해 내가 방문했던 장소와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으로 나의 이동경로뿐만 아니라 내가 다녔던 도시, 음식점,
jins-lifetip.tistory.com